생산 및 공정기술/책으로 배우기(서적 리뷰)

"제조공정설계원론" - (4)

case-nam 2024. 7. 21. 23:02

 

1. 공차 : 얼마나 덜 틀리게 만들 수있는가 ? 에 대한 값 (기준치수로부터의 허용치수의 변화량)

- 호칭치수(Norminal dimension) : 일반적으로 부르는 치수, 공차 개념을 반영하지 않은, 표준에 가까운 값

- 기준치수(Basic dimension) : 이론적으로 정확한 치수

- 허용치수(Allowance dimension) : 결합부품의 최대재료한계 사이의 의도적인 치수 차이 (양수와, 음수 일 수 있다.)

- 공차(Tolerance) : 기준치수로부터의 허용치수의 변화량

- 한계치수 : 제품에 혀용되는 최대 또는 최소 치수

 

 

2. 치수공차 : Tolerance for dimension 즉, 치수에 공차를 포함한 개념으로 호환성/대량생산성/제작용이성

- 양측공차법 : 호칭치수를 기준으로 양족에 등가의 공차를 주는 방법

- 편측공차법 : 호칭치수를 기준으로 양이나 음의 어느 한쪽으로만 공차를 규제하는 방법

- 한계치수법 : 호칭치수를 별도로 표시하지 않고 하한/상한 치수로 표현하는 방법

 

치수공차는 아래와 같이 3가지 치수 표시 방식이 있다.

 

일반적인 치수공차는 표준공차(International Tolerance) 국제규격을 따른다. 공차 표는 아래와 같이 구글 검색으로 쉽게 찾을 수 있다.

https://www.engineersedge.com/international_tol.htm

3. 기하공차 : 치수공차를 더 잘 설명하기위한 방법론이다.

도면상에 규제된 치수공차에 형상 및 위치공차를 부여하여 설계자의 의도를 명확하게 전달하고 최종제품을 가장 경제적이고

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고 기능 및 결합부품 상호간에 충분한 호환성을 주어 완전한 결합을 보증한다.

치수공차를 더 잘 설명하기위한 방법론이다.

 

- 기하공차는 기호를통해 표현된다. 기하공차의 종류와 기호는 아래와 같다.

 
사진 삭제

기하공차 기호

각 기호의 의미는 해당 표가있는 블로그에 아주 자세히 설명되어있다. 아래 링크를 참조하자.

https://m.blog.naver.com/studycadcam/220623256632

 

4. 공차누적 : 개개의 치수는 합격이나 전체 치수 관계에서는 불합격을 만드는 경우, 치수 감감 시 공차가

누적되어 치수모순이 생기는 현상

 

예를들어 아래와 같이 A,B 블록을 합친 도형이 있다고 하자. 각각의 높이 스펙은 25±0.05 이고 합친 도형의 높이는 50±0.05 라고

하였을때 A,B 각 도형의 아래와 가팅 모두 합격이지만 합친도형의 경우 불합격인 경우가 생긴다. 이러한 경우가 공차누적의 영향이다.